Python2020. 9. 9. 21:00
반응형

[파이썬 ( Python )] 슬라이싱(Slicing) (5)

 

슬라이싱 실습 코드
출력 결과

PhoneNumber = "123-4567-8910"

print("3번째 숫자 : " + PhoneNumber[2]) # 3 / []안에 특정 위치 번호를 적어 기준점을 표시해줍니다.
# PhoneNumber[2]라고 했으니 123-4567-8910 이 문자열중에 2번째 자리인 '2'를 기준으로 그 다음 숫자가 출력됩니다.
# 그 다음 자리부터 출력된다고 설명드린 이유는 처음부분이 1번째 자리가 아니라 0번째 자리로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 숫자 1번째 자리 [0] = 1, 숫자 2번째 자리 [1] = 2 , 숫자 3번째 자리 [2] = 3
# index 개념이라 생각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

print("중간번호 : " + PhoneNumber[4:8]) # 4번째 자리부터 8번째 자리 직전까지 불러와 출력합니다. 결과값 : 4567

Month="123456789101112"
Day="1234567~25262728293031"
print("크리스마스는 " + Month[13:15] + "월" + Day[8:10] + "일 입니다.")

#위와 같이 필요부분을 잘라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print(Month[:15])

# [:15] << 이런식으로 적으면 처음부터 15번째자리전까지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int(Day[0:])

# 반대로 [0:] << 이런식으로 적으면 처음자리부터 끝자리까지 출력할 수 있습니다.
print(PhoneNumber[-4:])

# 기준점을 뒤에서부터 '-'를 사용하여 시작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출력문을 예시로
# PhoneNumber 변수의 -4면 뒤에서 4번째 자리 숫자 0 1 9 8 즉 8부터 시작하여 끝자리까지 출력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보안 학생
Python2020. 9. 9. 20:46
반응형

[파이썬 ( Python )] 기본적인 문자열 출력 (4)

정말 기본적인 문자열 출력방법 입니다 ! 

 

문자열 출력코드

 

출력 결과

print('잠을 못잤다.') # ''를 사용하여 문장 출력.
print("그래서 너무 피곤하다.") # ""를 사용하여 문장 출력.
print( """
잠을 못잤다.
그래서 너무
피곤하다.
""" ) #

" 을 연속적으로 3번사용하여 문장을 출력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줄 바꿈까지 포함하여 출력됩니다.

 

 

반응형
Posted by 보안 학생
Python2020. 8. 18. 23:00
반응형

[파이썬 ( Python )] 연산자 & 부등호 기초 (3)

 

기본적인 사칙연산에 사용되는 연산자와 나눈값의 나머지 값, 몫, 제곱근을 구하는 방법 입니다. 

사칙연산 자체는 평소에 사용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는데요 제곱이나 몫, 나머지 값들은 평소 수기로 작성하는

모양과 조금 다릅니다. 컴퓨터가 인식을 할 수 있도록 작성해주셔야 합니다.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코드 ]

실행 결과 값들은 모두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위와 같이 제곱을 구할땐 ** 곱하기를 두번연속 적고, 나머지 값은 %, 몫은 /를 두번하여 //로 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부등호가 있는데요, 

 

print(20>10) # 20은 10보다 크다. True
print(20<10) # 20은 10보다 작다. False
print(10 >= 10) # 10은 10보다 크거나 같다. True
print(9 >= 10) # 9는 10보다 크거나 같다. False
print(10 == 10) # 10은 10과 같다. True
print(5+3+2 == 10) #이렇게 연산식과 섞어서도 사용가능 합니다.

print(10 != 20) # 10은 20과 같지 않다. 같은 용도로 not을 사용 할 수 있습니다. True
print((10 > 5) & (6 < 7)) # and 연산. 두 항의 값이 모두 참이어야 참. & 또는 and로 사용가능합니다.
print((10 < 5) | (6 < 7)) # or 연산. 둘 중에 하나라도 참이면 참. | 또는 or로 사용가능합니다.

 

이런식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시켜 원하는 값을 얻어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보안 학생
Python2020. 8. 17. 23:21
반응형

[파이썬 ( Python )] 변수 & 주석 기초 (2)

 

Python을 포함하여 대다수의 프로그래밍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요소 '변수'입니다.

[ 코드 ]

[ 실행결과 ]

변수는 활용도가 매우 높은 기능입니다!

적어야 할 내용이 길어지고 많아졌을때, 또는 같은 형식으로 여러명을 소개해야할 경우나 수정해야하는 경우가 생기면 하나하나 일일이 바꿔야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그렇기에 변수를 사용하여 값을 저장하고 필요한 부분만 수정하여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습니다.

 

주석 : 주석이란 코딩을 작성하고 실행할때 무시하고 싶은 부분을 정하여 실행하게되면
그 부분을 제외하고 실행하게 됩니다. 주석을 처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나 여러문장을 한번에
주석처리 하고싶을 땐 '###' 또는 ''' 이렇게 연속적으로 작은 따옴표를 세번 작성하면 됩니다. '''
혹은 주석처리하고 싶은 부분을 범위지정하여 Ctrl + / 를 입력하면 범위 주석처리가 됩니다.
이렇게 주석은 무시하고 싶은 부분 뿐만 아니라 파일을 공유하면서 다른 사람들이 알아보기 쉽게
설명글을 적을때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자세한  설명은 사진에 주석처리로 설명되어있으니 참고해보면 좋을 듯 합니다!

반응형
Posted by 보안 학생
Python2020. 8. 16. 00:58
반응형

[파이썬 ( Python )] 자료형 기초 (1)

Python 기초 첫번째로 간단하게 정수, 문자열, Boolean이 어떻게 작성하는지, 출력하는지에 대한 코드입니다. 

정수는 말 그대로 흔히들 생각하시는 1,2,3,4,5 이런 숫자들을 의미하구요, 문자열은 String 이라고 해서 어떠한 문자들을 ' '나 " "로 묶어놓은 것이라 생각하면 편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Boolean은 처음 프로그래밍 언어를 접하시면 조금 생소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간단합니다. 

참 또는 거짓을 판별하는 것을 뜻합니다. 

위의 코드에서 print(3>10) >> False가 결과값으로 반환됩니다. 

3은 10보다 작지만 크다고 했기 때문에 거짓이라는거죠. 

또 print(not (3>10)) >> True가 결과값으로 반환됩니다. 

이유는 3이 10보다 크다는 False이지만, 그 False의 앞에 not이 붙어 부정으로 변하면서 False가 아니다라고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결과값은 True로 나오게 됩니다 !  

반응형
Posted by 보안 학생
Project2020. 8. 8. 21:00
반응형

웹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동작 과정

웹 서비스 동작 흐름도

 

1 : 사용자 ( Client )가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도메인 주소(URL)를 입력합니다.

2 : DNS에서 입력된 도메인 값을 IP주소로 변환하여 웹 브라우저로 전송합니다.

3 : 전송받은 웹 페이지 정보를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웹 서버측으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합니다.

4 : 웹 서버에서 요청받은 내용을 분석하여 URL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검색하여 결과값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웹 브라우저로 다시 전송합니다.

5 : 전송 받은 응답 메시지를 웹 페이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되어 사용자가 볼 수 있게 됩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말 그대로 '대략적인' 흐름도 입니다. 틀린부분도 있을 수도 있고 중간에 빠진 내용이 있거나 웹 구성하는 도구에 따라 추가적인 요소 등 많은 추가적인 내용이 있습니다. 보통 우리가 인터넷을 볼 때 이런식의 과정이 이루어지는구나하는 가벼운 생각으로 참고 정도로 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의 특징 분석 및 정리  (0) 2020.08.07
Posted by 보안 학생
Project2020. 8. 7. 21:48
반응형

JSP가 가지는 특징 분석 정리

JSP란 ?

JSP는 Java Server Pages의 약어로 동적으로 웹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Java기반의 Server측 스크립트 언어입니다.  안전하며 빠른 Server 플랫폼에 독립적인 Java코드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Page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동작원리

Client (  웹 페이지 )측에서 JSP 페이지를 웹 서버에 요청하게 되면 웹 서버는 받은 요청을 JSP 컨테이너에 넣어 해당 JSP 페이지를 찾아 Servlet 파일을 생성합니다. 생성된 Servlet파일은 컴파일되어 Servlet 클래스 파일을 생성하여 Client측의 웹 브라우저로 응답되어 Client측에서 응답 결과를 보게 됩니다.

Web Browser >> 요청 >> Web Server >> { Servlet File로 변환 > Class File 생성 > 기계어로 변환 후 실행  } >> 응답 >> Web Browser  // {  } : JSP Container

 

* Servlet이란 ?

웹 프로그래밍에서 Client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다시 Client에게 전송하는 Java를 기반으로 한 웹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Java 프로그래밍 기술입니다

 

JSP 장단점

장점 :

보안성이 높아 대다수의 공공기관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Java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객체 지향성)

독립적으로 실행이 가능하기에 윈도우, 리눅스 등 운영체제에 상관없어 하드웨어나, OS에 의존도가 낮아 환경이 바뀌어도 재코딩할 경우가 적습니다.

표현부와 내부에 구현부를 분리하여 각각 따로 구분지어 효율적으로 작업이 가능합니다.

단점 :

초반 학습에 진입장벽이 비교적 높습니다.

소규모로 진행할 때 초기 개발 속도가 다른 언어들에 비해 비교적 느립니다.

반응형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웹 서비스가 이루어지는 동작 과정  (0) 2020.08.08
Posted by 보안 학생
카테고리 없음2019. 12. 22. 08:40
반응형

안녕하세요, 그동안 계정을 만들어놓고 이래저래 경황이 없어 운영을 하지 못했습니다. 

아마 20년도 1월 초부터 제가 학교에서 공부하는 내용들이나, 따로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내용들을 (자바, HTML, C언어, 네트워크 등)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 

"이런 문제가 있구나. " , "이런 정보도 있네." 이런 마음으로 가볍게 봐주셨으면 합니다. 

 

저는 컴퓨터공학부를 다니고 있는 평범한 학생입니다. 전문적이지도않고 잘하지도 못합니다. 

블로그 이름대로 제가 컴퓨터 분야쪽에서 성장해가는 과정을 그리고자 블로그를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Posted by 보안 학생